AWS 프리티어 계정 생성하기
AWS 프리티어는 1년간 AWS 일부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. 회원 가입은 생각보다 간단하다.
메일 인증
가입할 E-mail 주소를 입력하고 [이메일 주소 확인]을 클릭-이메일 확인 코드를 입력한다.
참고로 탈퇴 후 재가입 할 경우에 같은 이메일은 회원가입이 안된다.
사용 목적 및 개인정보
사용 목적은 [개인-자체 프로젝트의 경우]로 체크하고 리전은 [대한민국]으로 선택한다.
주소는 영문만 가능하니, 네이버에 영어 주소명을 검색해서 적어 넣으면 된다.
카드 정보
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100원정도 돈이 나가는데, 금방 다시 들어온다.
AWS 플랜 선택
무료로 사용하려고 만드는 계정이니 Support 플랜은 [기본 지원-무료]를 선택하면 된다.
로그인
로그인 후 리전이 서울이 아닐 경우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자
Mulit Factor Authentication
MFA는 사용자 인증 방식 중 하나인데, 쉽게 말해 2차 인증이다.
2차 인증을 왜 해야되나요?
2차 인증은 AWS에서 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안하는 사람들도 많다.
그런데 인터넷에 조금만 검색해도 AWS 계정 해킹으로 인해 억 단위로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꽤 있다.
물론 잘 말해서 환불이나 내지 않도록 할 수 있겠지만 정신적으로 많이 피폐해지니, 그냥 2차 인증을 하도록 하자.
2차 인증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.
- Password :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인증
- OTP(One Time Password) : 사전에 OTP기기와 AWS에서 세팅 후 일정 시간동안 유효한 숫자를 입력하여 인증
- 인증 전용 USB : 사전에 등록된 USB를 발급받고 인증
이렇게 있지만 OTP가 제일 사용하기 무난하다.
Root User MFA
최초 가입일 경우 루트 유저일텐데 아래와 같이 [보안 자격 증명]을 클릭한다.
보안 자격 증명에서 MFA를 클릭한다.
MFA 활성화 클릭 후 [가상 MFA 디바이스] 체크 후 휴대폰으로 설정하면 끝난다.
IAM User MFA
권한이 있다면 상관 없겠지만 권한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하자.
상단 검색창에 IAM을 검색 후 좌측 탭에 [사용자]를 클릭한다.
그리고 [보안 자격 증명]을 클릭하고 아까와 같이 설정하면 끝난다.